https://insoobaik.tistory.com/14
Linux - DNS
- DNS 서버는 bind 패키지만 사용하면 사용할 수 있다. - bind와 관련된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 /etc/named.conf - 설치가 완료되면 /etc/named.conf 파일을 vi 편집기를 통해 열어 준다. (vi /etc/named.conf)..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16
linux - web (ftp, xe, php)
- httpd, vsftpd, php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httpd는 웹, vsftpd는 ftp의 사용, php는 php를 이용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 먼저 php 사용을 위해 xe 파일을 받아와야 한다. 하지만 xe 파일이 다른 컴퓨터에 있기..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18
Linux - mysql, mariadb (xe 사이트 이용)
- https://insoobaik.tistory.com/16에서 xe 사이트 생성에 이어서 mysql, mariadb를 사용해본다. - Input mysql info 작성하기 위해 DB가 필요하다. - 처음 password 설정이 안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enter를..
insoobaik.tistory.com
- 위에 3가지 작업을 모두 마치게 되면 xe 사이트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 위에서 생성한 xe 사이트를 새로운 client에서 생성하는 것을 볼 것이다.
- 가상 머신에서 새로운 client를 하나 생성한다.
- 네임서버(DNS)는 resolv.conf에 의해 전달된 IP를 이용한다. ','를 기준으로 앞에서부터 사용된다.
- 설정을 완료한 다음 네트워크를 끄고 킨다.
- 주소창에 www.bistest.com을 입력한다.
각자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했지만 www.bistest.com DNS를 이용해 접속한 것을 볼 수 있다.
'Programm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권한 (0) | 2022.02.16 |
---|---|
Linux - 사용자 계정 (0) | 2022.02.15 |
Linux - mysql, mariadb (xe 사이트 이용) (0) | 2022.01.25 |
Linux - web (ftp, xe, php) (0) | 2022.01.23 |
Linux - DNS (0) | 202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