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windows 15

환경 변수(Environment Variable)란?

1. 환경 변수 1.1 Linux에서의 환경변수 1.2 Windows에서의 환경 변수 1. 환경 변수 1.1 Linux에서의 환경변수 - 환경 변수란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이다. - 환경 변수는 시스템의 실행 파일이 놓여 있는 디렉터리의 지정 등 OS 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참조하기 위한 설정이 기록된다. - shell script 파일을 생성한다. - script 파일의 내용은 파일안에 내용을 작성하고 해당 내용을 출력하는 파일이다. - sh 명령어를 이용하여 sh 파일 즉 shell script 파일을 실행 시킨다. - 경로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파일이 실행되지 않는다. - 환경 변수 기본 경로인 ./bash_profile 파일에 해당 sh..

Network - 스위치, ARP (packet tracer, windows)

- 이번 포스팅은 스위치 및 ARP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MAC)로 대응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스위치는 2계층 장비로 물리적 포트에 연결된 기기에서 전송된 패킷을 받아 패킷이 도달해야 하는 기기로 이어지는 포트를 통해서 전달한다. 이 때 MAC 주소를 사용한다. - Switch - 스위치는 ARP를 통해 MAC address 정보를 받아온다. - 허브와 다르게 저장 기능이 한번 MAC address 정보가 들어오게 되면 MAC address를 찾기 위해 매번 모든 포트에 전기적 신호를 주지 않아도 된다. - 처음에는 허브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정보가 없기 때문에 모든 포트로 패킷을..

Network/Network 2022.04.12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3

-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windows에서 계속해서 작업 해 볼 것이다. https://insoobaik.tistory.com/106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1 - 이번 포스팅은 이전 Linux (DHCP, FTP, DNS, WEB, MAIL) 설정과 유사하고 추가로 NFS와 MAIL 기능을 추가 해 볼 것이다. NFS는 MAIL 기능을 사용해 볼 때는 thundermail이라는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 해..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109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2

https://insoobaik.tistory.com/106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1 - 이번 포스팅은 이전 Linux (DHCP, FTP, DNS, WEB, MAIL) 설정과 유사하고 추가로 NFS와 MAIL 기능을 추가 해 볼 것이다. NFS는 MAIL 기능을 사용해 볼 때는 thundermail이라는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 해.. insoobaik.tistory.com -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작업을 해 볼 것이다. 이전 포스팅은 대부분 linux에서 작업했다면 이번에는 Windows(가상환경)에서 작업을 해 볼 것이다. - Windows 10(가상환경), W10-1 - compmgmt.msc 컴퓨터 관리 ..

CentOS7 - Linux, Windows (DHCP, FTP, DNS, WEB, NFS, MAIL) / 1

- 이번 포스팅은 이전 Linux (DHCP, FTP, DNS, WEB, MAIL) 설정과 유사하고 추가로 NFS와 MAIL 기능을 추가 해 볼 것이다. NFS는 MAIL 기능을 사용해 볼 때는 thundermail이라는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 해 볼 것이다. - 이번에 설정한 조건은 위와 같다. - CentOS7-1 설정 - CentOS7-1의 네트워크 설정을 조건에 맞게 변경해준다. - DNS, HTTP, NFS을 사용하기 위해 각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 아파치 파일에 접근 할 때 반환하는 파일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index.html이 디렉토리 경로 상에 존재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시 해당 파일을 보낸다. - blog와 intra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 루트 디렉토리인 /var/www/ 아..

Linux - NFS + (Windows 환경에서도 사용)

- 이번 포스팅은 NFS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이다. 즉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엑세스하고 해당 파일 디렉토리가 로컬에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이다. 또 서로 다른 운영체제끼리 파일 디렉토리 공유도 가능하다. - NFS SERVER (linux) - NFS를 사용하기 위해 nfs-utils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 /etc/exports NFS를 사용하기 위해 패키지를 nfs-utils 파일을 설치하였고 해당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의 설정은 /etc/exports 파일에 작성해준다. * NFS 주요 옵션 1. rw : 읽기/쓰기 2. root_squash : Client에서 접속 시 익명..

개발/Linux 2022.04.08

Linux - MAIL

- 이번 포스팅은 MAIL을 리눅스에서 설정하여 windows 환경에서 mail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해보는 작업을 해 볼 것이다. Mail (전자 우편) 1. 보내는 메일 Server - SMTP : TCP 25 2. 받는 메일 Server - POP : TCP 110 - 메일을 읽으면 Client쪽으로 다운로드 된다. - 전용 단말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면 여러군데로 흩어진 메일을 모아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 IMAP : TCP 143 - 메일을 읽어도 서버에 남는다. - 메일 사서함 용량 관리가 필요하다. - Dovecot - mail을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 /var/named/baikis.xyz 파일에서 mail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 mail.baikis.xyz 도메인을 생..

개발/Linux 2022.04.08

CentOS 7 - Linux (DHCP, FTP, DNS, WEB, Virtual Host) / 2

https://insoobaik.tistory.com/104 CentOS 7 - 1 / Linux (DHCP, FTP, DNS, WEB) - 이번 포스팅은 DHCP, FTP, DNS, WEB을 리눅스에서 작성하여 Windows 환경에서 확인해보는 작업을 해 볼 것이다. DHCP, FTP, DNS, WEB 설정 모두 리눅스에서만 설정 할 것이고 조건은 아래 주어진 조건에 맞 insoobaik.tistory.com -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Virtual Host 설정을 해 볼 것이다. Virtual Host는 하나의 IP와 Port를 갖고 여러 웹 사이트를 서비스 하는 방법이다. 여러 웹 사이트를 서비스 하기 위해선 1. IP가 여러개 있어야 하거나 2. 여러개의 Port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Linux - DNS (windows - 설정 확인)

- 이번 포스팅은 저번에 이어서 DNS 작업을 리눅스에서 해 볼 것이다. 설정 확인 windows 환경에서 해 볼 것이다. - yum install -y bind bind-utils bind-libs DNS를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선 bind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 패키지 설치 확인 - /etc/named.conf named 데몬의 설정 파일이다. DNS 서버를 구축에 필요한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도메인 설정을 위한 내용들이 있다. - 13 : DNS port 53에 어떤 IP를 접근 가능하게 할 것인지 설정하는 파일이다. any일 경우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가능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21 : 재귀 질의가 올 때 어떤 IP로 응답을 받을 것인가에 대한 설정이다. - /etc/named.rfc19..

개발/Linux 2022.04.07

Windows - DNS (/etc/hosts)

- 이번 포스팅은 DNS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으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숫자로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힘들기 떄문에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DNS (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1. URL을 IP Address 변환 2. URL 검색 순서 2.1 첫번째 cache memory 확인 - ipconfig /displaydns 캐쉬 확인 - ipconfig /flushdns 2.2 /etc/hosts 참조 2.3 DNS (고정 IP 설정 or DHCP 서버에서 수신하는) 참조 5.1 DNS의 이해 - 도메인은 .(루트) 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