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1 - 커밋, 롤백
package hello.springtx.propagation;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PlatformTransactionManag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TransactionDefini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Transaction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UnexpectedRollback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DefaultTransactionAttribute;
import javax.sql.DataSource;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asicTxTest {
@Autowired
PlatformTransactionManager txManager;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Config {
@Bean
public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
@Test
void commit() {
log.info("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 커밋 시작");
txManager.commit(status);
log.info("트랜잭션 커밋 완료");
}
@Test
void rollback() {
log.info("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 커밋 시작");
txManager.rollback(status);
log.info("트랜잭션 커밋 완료");
}
}
- commit() 메서드 실행
- 정상적으로 commit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rollback() 메서드 실행
- 정상적으로 rollback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2 - 트랜잭션 두 번 사용
@Test
void double_commit() {
log.info("트랜잭션1 시작");
TransactionStatus tx1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1 커밋");
txManager.commit(tx1);
log.info("트랜잭션2 시작");
TransactionStatus tx2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2 커밋");
txManager.commit(tx2);
}
- double_commit() 메서드 실행
- 첫번째 트랜잭션에서 커넥션 풀에 있는 커넥션을 가져다가 사용한 뒤 반납한다.
- 두번째 트랜잭션에서 커넥션 풀에 있는 커넥션을 가져다가 사용한 뒤 반납한다.
- 두 트랜잭션 모두 con0을 사용하였지만 서로 다른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 트랜잭션이 각각 수행되면서 사용되는 DB 커넥션도 각각 다르다.
2. 이 경우 트랜잭션을 각자 관리하기 때문에 전체 트랜잭션을 묶을 수 없다. 예를 들어서 트랜잭션1이 커밋하고, 트랜잭션2가 롤백하는 경우 트랜잭션1에서 저장한 데이터는 커밋되고, 트랜잭션2에서 저장한 데이터는 롤백된다. 다음 예제를 확인해보자
- double_commit_rollback() - BasicTxTest 추가
@Test
void double_commit_rollback() {
log.info("트랜잭션1 시작");
TransactionStatus tx1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1 커밋");
txManager.commit(tx1);
log.info("트랜잭션2 시작");
TransactionStatus tx2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트랜잭션2 커밋");
txManager.rollback(tx2);
}
- 서로 다른 트랜잭션을 실행하기 때문에 커밋하는 트랜잭션은 정상적으로 커밋을하고, 롤백하는 트랜잭션은 롤백을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3 - 전파 기본
- 어떻게 동작할지 결정하는 것을 트랜잭션 전파(propagation)라 한다.
- 처음으로 시작된 트랜잭션을 외부 트랜잭션이라고 부르고, 처음 시작된 트랜잭션이 끝나기 전에 트랜잭션을 호출하게 되면 해당 트랜잭션을 내부 트랜잭션이라고 부른다.
- 스프링 이 경우 외부 트랜잭션과 내부 트랜잭션을 묶어서 하나의 트랜잭션을 만들어준다.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것이 기본 동작이고, 옵션을 통해 다른 동작방식도 선택할 수 있다.
- 물리 트랜잭션은 우리가 이해하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 트랜잭션을 뜻한다. 실제 커넥션을 통해서 트랜잭션을 시작(setAutoCommit(false))하고, 실제 커넥션을 통해서 커밋, 롤백하는 단위다.
- 논리 트랜잭션은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단위이다.
- 이러한 논리 트랜잭션 개념은 트랜잭션이 진행되는 중에 내부에 추가로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단순히 트랜잭션이 하나인 경우 둘을 구분하지는 않는다. (더 정확히는 REQUIRED 전파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고, 이 옵션은 뒤에서 설명한다.)
- 원칙
1. 모든 논리 트랜잭션이 커밋되어야 물리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2. 하나의 논리 트랜잭션이라도 롤백되면 물리 트랜잭션은 롤백된다.
- 외부, 내부 논리 트랜잭션 전부 커밋 되었기 때문에 물리 트랜잭션도 정상적으로 커밋된다.
- 위의 그림은 외부 트랜잭션이 아래 그림은 내부 트랜잭션이 롤백을 했기 때문에 물리 트랜잭션 또한 롤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4 - 전파 예제
@Test
void inner_commit()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out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outer.isNewTransaction()={}", outer.isNewTransaction());
log.info("내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inn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inner.isNewTransaction()={}", inner.isNewTransaction());
log.info("내부 트랜잭션 커밋");
txManager.commit(inner);
log.info("외부 트랜잭션 커밋");
txManager.commit(outer);
}
-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commit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log.info("outer.isNewTransaction()={}", outer.isNewTransaction());
log.info("inner.isNewTransaction()={}", inner.isNewTransaction());
- isNewTransaction()이라는 메서드를 통해 처음 생성된 트랜잭션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 트랜잭션 참여
1.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한다는 뜻은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을 그대로 이어 받아서 따른다는 뜻이다.
2. 정리하면 외부 트랜잭션과 내부 트랜잭션이 하나의 물리 트랜잭션으로 묶이는 것이다.
- 내부 트랜잭션은 이미 진행중인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한다. 이 경우 신규 트랜잭션이 아니다 ( isNewTransaction=false ).
- 또한 로그를 보게되면 내부 트랜잭션을 커밋하여도 실제 커넥션의 커밋은 한 번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내부 트랜잭션의 경우 먼저 생성된 트랜잭션에 참여하고, 새롭게 생성된 트랜잭션이 아니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외부 트랜잭션만 물리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한다
- 스프링은 이렇게 여러 트랜잭션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처음 트랜잭션을 시작한 외부 트랜잭션이 실제 물리 트랜잭션을 관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트랜잭션 중복 커밋 문제를 해결한다
- 핵심 정리
1. 핵심은 트랜잭션 매니저에 커밋을 호출한다고해서 항상 실제 커넥션에 물리 커밋이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2. 신규 트랜잭션인 경우에만 실제 커넥션을 사용해서 물리 커밋과 롤백을 수행한다. 신규 트랜잭션이 아니면 실제 물리 커넥션을 사용하지 않는다.
3. 이렇게 트랜잭션이 내부에서 추가로 사용되면 트랜잭션 매니저에 커밋하는 것이 항상 물리 커밋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이 경우 논리 트랜잭션과 물리 트랜잭션을 나누게 된다. 또는 외부 트랜잭션과 내부 트랜잭션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4. 트랜잭션이 내부에서 추가로 사용되면,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논리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모든 논리 트랜잭션이 커밋되면 물리 트랜잭션이 커밋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5 - 외부 롤백
@Test
void outer_rollback()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out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내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inn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내부 트랜잭션 커밋");
txManager.commit(inner);
log.info("외부 트랜잭션 롤백");
txManager.rollback(outer);
}
- 내부 트랜잭션이 커밋했지만 외부 트랜잭션이 롤백 했기 때문에 물리 트랜잭션도 롤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내부 트랜잭션이 커밋되었다고 해서 실제 커넥션이 커밋되어버리면 안된다.
- 트랜잭션 매니저는 신규 트랜잭션인 외부 트랜잭션이 롤백을 호출했기 때문에 실제 물리 트랜잭션도 롤백을 실행한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6 - 내부 롤백
@Test
void inner_rollback()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out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내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inn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내부 트랜잭션 롤백");
txManager.rollback(inner);
log.info("외부 트랜잭션 커밋");
Assertions.assertThatThrownBy(() -> txManager.commit(outer))
.isInstanceOf(UnexpectedRollbackException.class);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커밋");
Assertions.assertThatThrownBy(() -> txManager.commit(outer))
.isInstanceOf(UnexpectedRollbackException.class);
- 위 코드는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가 발생할 경우 검증을 통과하는 로직이기 때문에 해당 메서드에서 UnexpectedRollbackException이 발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articipating transaction failed - marking existing transaction as rollbackonly
- 내부 트랜잭션을 롤백하면 실제 물리 트랜잭션이 롤백되는 것이 아니라 rollbackonly라는 표식을 남긴다.
- 외부 트랜잭션 커밋
1. 외부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2. Global transaction is marked as rollback-only
3. 커밋을 호출했지만, 전체 트랜잭션이 롤백 전용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 응답 흐름 - 내부 트랜잭션
1. 로직2가 끝나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내부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로직2에 문제가 있어서 롤백한다고 가정한다.)
2. 트랜잭션 매니저는 롤백 시점에 신규 트랜잭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이 경우 신규 트랜잭션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롤백을 호출하지 않는다. 이 부분이 중요한데, 실제 커넥션에 커밋이나 롤백을 호출하면 물리 트랜잭션이 끝나버린다. 아직 트랜잭션이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롤백을 호출하면 안된다. 물리 트랜잭션은 외부 트랜잭션을 종료할 때 까지 이어져야한다.
3. 내부 트랜잭션은 물리 트랜잭션을 롤백하지 않는 대신에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rollbackOnly=true 라는 표시를 해둔다.
- 응답 흐름 - 외부 트랜잭션
4. 로직1이 끝나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외부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5. 트랜잭션 매니저는 커밋 시점에 신규 트랜잭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외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다. 따라서 DB 커넥션에 실제 커밋을 호출해야 한다. 이때 먼저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롤백 전용( rollbackOnly=true ) 표시가 있는지 확인한다. 롤백 전용 표시가 있으면 물리 트랜잭션을 커밋하는 것이 아니라 롤백한다.
6.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롤백이 반영되고, 물리 트랜잭션도 끝난다.
7. 트랜잭션 매니저에 커밋을 호출한 개발자 입장에서는 분명 커밋을 기대했는데 롤백 전용 표시로 인해 실제로는 롤백이 되어버렸다. 이것은 조용히 넘어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시스템 입장에서는 커밋을 호출했지만 롤백이 되었다는 것은 분명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고객은 주문이 성공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롤백이 되어서 주문이 생성되지 않은 것이다. 스프링은 이 경우 UnexpectedRollbackException 런타임 예외를 던진다. 그래서 커밋을 시도했지만, 기대하지 않은 롤백이 발생했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려준다.
즉,
1. 논리 트랜잭션이 하나라도 롤백되면 물리 트랜잭션은 롤백된다.
2. 내부 논리 트랜잭션이 롤백되면 롤백 전용 마크를 표시한다.
3. 외부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롤백 전용 마크를 확인한다. 롤백 전용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면 물리 트랜잭션을 롤백하고, UnexpectedRollbackException 예외를 던진다.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7 - REQUIRES_NEW
- 외부 트랜잭션과 내부 트랜잭션을 완전히 분리해서 각각 별도의 물리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1. 이렇게 물리 트랜잭션을 분리하려면 내부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REQUIRES_NEW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2. 외부 트랜잭션과 내부 트랜잭션이 각각 별도의 물리 트랜잭션을 가진다.
3. 별도의 물리 트랜잭션을 가진다는 뜻은 DB 커넥션을 따로 사용한다는 뜻이다.
4. 이 경우 내부 트랜잭션이 롤백되면서 로직 2가 롤백되어도 로직 1에서 저장한 데이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최종적으로 로직2는 롤백되고, 로직1은 커밋된다.
@Test
void inner_rollback_requires_new()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out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outer.isNewTransaction()={}", outer.isNewTransaction()); //true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DefaultTransactionAttribute definition = 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definition.setPropagationBehavior(TransactionDefinition.PROPAGATION_REQUIRES_NEW);
TransactionStatus inner = txManager.getTransaction(definition);
log.info("inner.isNewTransaction()={}", inner.isNewTransaction()); //true
log.info("내부 트랜잭션 롤백");
txManager.rollback(inner);
log.info("외부 트랜잭션 커밋");
txManager.commit(outer);
}
- 내부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전파 옵션인 propagationBehavior 에 PROPAGATION_REQUIRES_NEW 옵션을 주었다.
- 이 전파 옵션을 사용하면 내부 트랜잭션을 시작할 때 기존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물리 트랜잭션을 만들어서 시작하게 된다.
- 외부 트랜잭션 시작
1. 외부 트랜잭션을 시작하면서 conn0 를 획득하고 manual commit 으로 변경해서 물리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 외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다.( outer.isNewTransaction()=true )
- 내부 트랜잭션 시작
1. 내부 트랜잭션을 시작하면서 conn1 를 획득하고 manual commit 으로 변경해서 물리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 내부 트랜잭션은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PROPAGATION_REQUIRES_NEW 옵션을 사용했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신규 트랜잭션으로 생성된다.( inner.isNewTransaction()=true )
- 내부 트랜잭션 롤백
1. 내부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2. 내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실제 물리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3. 내부 트랜잭션은 conn1 을 사용하므로 conn1 에 물리 롤백을 수행한다.
- 외부 트랜잭션 커밋
1. 외부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2. 외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실제 물리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3. 외부 트랜잭션은 conn0 를 사용하므로 conn0 에 물리 커밋을 수행한다.
- 요청 흐름 - 외부 트랜잭션
1. txManager.getTransaction() 를 호출해서 외부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 트랜잭션 매니저는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생성한다.
3. 생성한 커넥션을 수동 커밋 모드( setAutoCommit(false) )로 설정한다. - 물리 트랜잭션 시작
4.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커넥션을 보관한다.
5.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생성한 결과를 TransactionStatus 에 담아서 반환하는데, 여기에 신규
트랜잭션의 여부가 담겨 있다. isNewTransaction 를 통해 신규 트랜잭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을 처음 시작했으므로 신규 트랜잭션이다.( true )
6. 로직1이 사용되고, 커넥션이 필요한 경우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트랜잭션이 적용된 커넥션을
획득해서 사용한다.
- 요청 흐름 - 내부 트랜잭션
7. REQUIRES_NEW 옵션과 함께 txManager.getTransaction() 를 호출해서 내부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REQUIRES_NEW 옵션을 확인하고, 기존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8. 트랜잭션 매니저는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생성한다.
9. 생성한 커넥션을 수동 커밋 모드( setAutoCommit(false) )로 설정한다. - 물리 트랜잭션 시작
10. 트랜잭션 매니저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커넥션을 보관한다.
이때 con1 은 잠시 보류되고, 지금부터는 con2 가 사용된다. (내부 트랜잭션을 완료할 때 까지 con2
가 사용된다.)
11. 트랜잭션 매니저는 신규 트랜잭션의 생성한 결과를 반환한다. isNewTransaction == true
12. 로직2가 사용되고, 커넥션이 필요한 경우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있는 con2 커넥션을 획득해서
사용한다.
- 응답 흐름 - 내부 트랜잭션
1. 로직2가 끝나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내부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로직2에 문제가 있어서 롤백한다고
가정한다.)
2. 트랜잭션 매니저는 롤백 시점에 신규 트랜잭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현재 내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다. 따라서 실제 롤백을 호출한다.
3. 내부 트랜잭션이 con2 물리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트랜잭션이 종료되고, con2 는 종료되거나, 커넥션 풀에 반납된다.
이후에 con1 의 보류가 끝나고, 다시 con1 을 사용한다.
- 응답 흐름 - 외부 트랜잭션
4. 외부 트랜잭션에 커밋을 요청한다.
5. 외부 트랜잭션은 신규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물리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6. 이때 rollbackOnly 설정을 체크한다. rollbackOnly 설정이 없으므로 커밋한다.
7. 본인이 만든 con1 커넥션을 통해 물리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트랜잭션이 종료되고, con1 은 종료되거나, 커넥션 풀에 반납된다.
- 정리
1. REQUIRES_NEW 옵션을 사용하면 물리 트랜잭션이 명확하게 분리된다.
2. REQUIRES_NEW 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동시에 2개 사용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출처 : 인프런 - 우아한 형제들 기술이사 김영한의 스프링 완전 정복 (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Program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ata JPA - 공통 인터페이스 기능 (0) | 2023.07.24 |
---|---|
Spring -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2 - 활용 (0) | 2023.07.08 |
Spring - 스프링 트랜잭션 이해 (0) | 2023.07.07 |
Spring - 데이터 접근 기술 - 활용 방안 (0) | 2023.07.07 |
Spring - 데이터 접근 기술 - Querydsl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