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WindowsServer

WindowsServer 2019 - DNS (스텁(stub) 영역)

잇(IT) 2022. 4. 1. 10:57
728x90

ㅋ- 이번 포스팅에서는 DNS의 스텁(stub) 영역에 대해 다뤄 볼 예정이다. 스텁 영역은 보조 영역과 비슷하게 주 영역에서 레코드를 받아오지만 주 영역에서 생성한 모든 레코드들을 받아오는 것이 아닌 SOA, NS 레코드와 두 레코드에 해당하는 A 레코드만 받아온다.

 


https://insoobaik.tistory.com/81

 

WindowsServer 2019 - DNS(주영역 (정방향, 역방향))

- WindowsServer에서 DNS(Domain Name Service)를 사용해 볼 것이다.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DNS 설치 - DNS.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86

 

WindowsServer 2019 - DNS (보조 영역(정방향, 역방향))

- 이번 포스팅에서는 DNS 보조 영역을 설정해 볼 것이다. 보조 영역은 주 영역에 존재하는 레코드들을 업데이트 하여 레코드들을 직접 생성하지 않아도 주 영역과 동일한 레코드를 가질 수 있도

insoobaik.tistory.com

 

- 주 영역, 보조 영역에 대한 포스팅



- 스텁 영역 생성

 

- 스텁 영역 생성하는 과정은 주 영역, 보조 영역 생성 방법과 유사하다.

- 스텁 영역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스텁 영역을 체크해준다.

 

주 영역 DNS명과 동일한 DNS명을 입력한다.

 

- 마스터 서버 = 주 영역의 IP 주소가 현재 10.0.0.1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IP 주소를 입력해준다.

 

- 위의 설정들을 마치게 되면 스텁 영역이 생성된다.


- 스텁 영역 (정방향)

 

- 정방향 조회 영역에 스텁 영역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텁 영역 레코드들(위 사진)과 주 영역 레코드들(아래 사진)을 비교해보면 아래 주 영역에는 많은 레코드들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스텁 영역의 레코드는 SOA, NS 레코드와 SOA, NS에 해당하는 A 레코드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텁 영역 (역방향)

- 역방향 조회 영역도 마찬가지로 스텁 영역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역방향 조회 영역의 스텁 영역의 레코드들(위 사진)과 주 영역 레코드들(아래 사진)을 비교해보면 정방향과 마찬가지로 스텁 영역에는 SOA, NS 레코드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텁 영역도 마찬가지로 어떤 설정도 수정할 수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