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rogramming 281

Linux - LVM 2 (PV, VG, LV)

https://insoobaik.tistory.com/64 Linux - LVM (PV, VG, LV) 7.1 LVM 활용 절차 LVM을 활용하기 위한 절차를 먼저 간단하게 보면 하드디스크 파티셔닝 -> 시스템 id를 LVM으로 변경 -> PV 생성 -> VG 생성 -> LV 생성 -> 파일 시스템 포맷 -> mount 반대로 초기화를 해주 insoobaik.tistory.com - 이전 실습을 이어서 진행해 볼 것이다. 다음과 같이 기존의 PV, VG, LV에 새로운 하드를 추가하여 PV, VG, LV의 용량을 늘려볼 것이다. sdb1, sdb2 파티션 생성 및 시스템 ID를 LVM으로 지정해준다. PV을 두개 생성해준다. test라는 이름의 VG에 sdb1, sdb2를 넣어준다. vgdisplay 명..

Programming/Linux 2022.03.08

Linux - LVM (PV, VG, LV)

7.1 LVM 활용 절차 LVM을 활용하기 위한 절차를 먼저 간단하게 보면 하드디스크 파티셔닝 -> 시스템 id를 LVM으로 변경 -> PV 생성 -> VG 생성 -> LV 생성 -> 파일 시스템 포맷 -> mount 반대로 초기화를 해주기 위해선 umount -> LV 해제 -> VG 해제 -> PV 해제 -> 파티셔닝 삭제 순으로 초기화를 시켜주면 된다. 7.2 LVM 활용 예시 LVM을 활용하기 위해 사전에 sdb 하드 디스크를 파티셔닝 해준다. 다음과 같이 sdb를 파티셔닝 해줬다. LVM을 사용하기 위해서 추가로 시스템 id를 LVM으로 바꿔주어야 한다. sdb를 t 옵션을 이용하여 시스템 id 설정으로 가서 LVM에 해당하는 코드 8e를 입력해준다. 다음과 같이 LVM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

Programming/Linux 2022.03.07

Linux - storage 관리 (LVM)

6.2 Storage 관리 6.2.1 디스크 확인 명령어 6.2.1.1 lsblk 다음과 같이 생성된 디스크들과 SIZE를 확인 할 수 있다. 6.2.1.2 fdisk -l 동일하게 디스크와 디스크의 크기를 볼 수 있다. 6.2.1.3 cat /proc/partitions 마찬가지로 디스크와 디스크 SIZE를 볼 수 있다. 6.2.2 파티셔닝 * 블록 스토리지 블록 스토리지란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환경에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블록 스토리지를 하려면 파티셔닝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6.2.2.1 fdisk - fdisk /dev/[하드디스크 이름] Command에 m을 입력하면 옵션들을 확인 할 수 있다. - d : 파티션을 삭..

Programming/Linux 2022.03.07

Linux - storage 종류 (DAS, NAS, SAN)

1. Storage 종류 1.1 DAS - DAS(Direct Attach Storage) - IDE, SCSI, SATA - 원격지 설치 불가능, 물리적인 Machine 내장 혹은 최대 1M를 넘지 않는 곳에 설치한다. - 물리적 연결매체의 최대 유효거리를 넘지 못한다. -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르다. - 비용이 저렴하다. - 파일 시스템 공유는 불가능하다. 1.2 NAS - NAS(Network Area Storage) - 통상적으로 Network 환경내에 구성 - 속도는 100Mbps ~ 1Gbps - 원격지 설치 가능 - NFS - 저렴하며 구성이 쉽다. - 네트워크에 병목이 생기면 속도 저하 발생 - 사용자가 늘어나도 속도 저하 발생 - 파일 시스템 공유 가능 1.3 SAN - SAN(Storag..

Programming/Linux 2022.03.07

linux - chage

4.7.3 chage chage는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설정하는 명령어다. /etc/shadow(비밀번호 관련 저장 파일)의 날짜 관련 필드 설정을 모두 할 수 있는 명령어다. passwd와 거의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날짜에 관련된 특화된 기능을 추가로 설정 할 수 있다. 옵션 -l (소문자 L) :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 : 최근 패스워드를 바꾼 날을 수정한다. -m : 패스워드 변경 최소 날짜를 지정한다. 즉 패스워드 변경 후 일절기간 사용해야될 최소 만기일을 지정한다. -M : 패스워드 변경 없이 사용 가능한 최대 날짜를 지정한다. 즉 한 번 설정한 패스워드의 만기일을 지정한다. -I (대문자 i) : 패스워드 최대 사용기간 만료 후에 실제 패스워..

Programming/Linux 2022.03.04

linux - 사용자 관리 (useradd, userdel, usermod)

4.7.2.1 사용자 - useradd [사용자명] 위에서 봤던 /etc/login.def파일의 내용을 기반으로 파일의 내용이 설정된다. -u : uid 지정 (마지막으로 생성한 uid값 바로 다음 id 번호를 사용한다.) -g : gid 지정 (기본 그룹 : 사용자 계정 생성시에는 지정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미리 지정할 그룹이 존재해야 한다. 존재하는 그룹이 있다면 생성시 지정이 가능하다.) -c : 사용자 계정에 대한 코멘트 즉, 설명을 적는다. -d : 홈 디렉토리 지정 사용자 계정이 저장될 위치를 지정한다. 별도의 지정이 없으면 /etc/default/useradd에 설정된 홈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m : -d 옵션을 이용하여 홈 디렉토리의 위치를 바꿈과 동시에 파일과 디렉토리 이동까지 해야 할..

Programming/Linux 2022.03.04

linux -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etc/skel

4.7.1.4 /etc/login.defs /etc/login.defs 파일은 사용자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 값을 정의한 파일이다. 대부분 #으로 주석처리가 되어있지만 중간중간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들이 있다. MAIL_DIR : 기본 메일 디렉토리 PASS_MAX_DAYS : 패스워드 최대 사용일 PASS_MIN_DAYS : 패스워드 최소 사용일 PASS_WARN_AGE : 패스워드 만료 경고일 PASS_MIN_LEN : 패스워드 최소 길이 UID_MIN, UID_MAX : 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 SYS_UID_MIN SYS_UID_MAX : 시스템 계정의 UID 범위 GID_MIN, GID_MAX : 사용자 계정의 UID범위 SYS_GID_MIN SYS_GID_MAX : 시스템 계정의 GID 범..

Programming/Linux 2022.03.04

linux - /etc/shadow

4.7.1.2 /etc/shadow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의 계정과 패스워드 정보가 기록되는 곳이다. 패스워드는 암호화 되어 기록된다. 계정과 패스워드 정보가 기록되는 아주 중요한 파일이기 때문에 아무런 권한도 주어져 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bin:*:18353:0:999999:7::: 1:2:3:4:5:6:7:8::: 1) bin : 계정 명, 사용자의 계정이다. 2) * :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암호화 되어 저장되는 곳이다. /etc/passwd 파일에서 패스워드가 x로 되어있으면 /etc/shadow 파일을 참조한다. 3) 18353 : 패스워드 파일 최종 수정 일로 공백이 가능하다. 4) 0 : 패스워드 변경 최소일을 뜻한다. 공백이 가능하다. 5) 999999 : 패스워드 변경..

Programming/Linux 2022.03.04

linux - /etc/passwd

4.7.1.1 /etc/passwd - /etc/passwd 파일은 계정을 관리하는 파일이다. 계정은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와 그룹이 최상위 root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실행 권한이 전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생성되어 있는 계정들에 관한 정보들이 나와 있다. root:x:0:0:root:/root:/bin/bash 1:2:3:4:5:6:7 1) root : 계정 명으로 실제 사용하는 계정명이다. 2) x : 패스워드로 x로 되어있는 경우 /etc/shadow에 암호화 되어 있는 패스워드를 사용한다. 3) 0 : 사용자 UID를 나타낸다. 4) 0 : 그룹ID 즉 GID를 나타낸다. 5) root : 계정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는 곳이다. 6) /root : 해당 계정의 홈 디..

Programming/Linux 2022.03.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