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개키 2

Linux - SSH (개인키, 공개키 2)

- 이번 포스팅은 SSH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이전에 SSH에 대해 한 번 포스팅한적이 있지만 조금 더 자세하게 다시 포스팅 해보려 한다.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SSH를 개인키와 공개키를 이용하여 원격 서버에 로그인을 해보는 작업을 해볼 것이다. - 메인이 되는 서버에서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한 다음 서버에 개인키는 메인이 되는 서버에 공개키는 메인 서버에 접근 할 클라이언트 서버에 부여하게 되면 다음 과정을 통해 SSH를 통해 원격지로 접속 할 수 있게 된다. https://insoobaik.tistory.com/70 Linux - SSH(개인키, 공개키) SSH 클라이언트, 서버의 통신 과정이다. OpenSSH의 설정..

Programming/Linux 2022.04.04

Linux - SSH(개인키, 공개키)

SSH 클라이언트, 서버의 통신 과정이다. OpenSSH의 설정 내용은 /etc/ssh/sshd_config에 있다. - PubKeyAuthentication yes : 공개키 인증 설정에 대한 여부를 묻는 것이다. - AuthorizedKeyFile .ssh/authorized_keys : 인증키를 저장할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ssh-keygen --help 명령어를 사용하면 여러가지 옵션들을 확인 할 수 있다. cmd를 열어서 ssh-keygen 명령어를 사용해서 3072bite의 bis라는 키 파일을 생성한다. dir로 파일을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이 bis 파일과 bis.pub 공개키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bis : private key, 절대로 타인에게 노출되면 안된다. bis.pub ..

Programming/Linux 2022.03.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