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etwork/WindowsServer 46

WindowsServer 2019 - DNS (보조 영역(정방향, 역방향))

- 이번 포스팅에서는 DNS 보조 영역을 설정해 볼 것이다. 보조 영역은 주 영역에 존재하는 레코드들을 업데이트 하여 레코드들을 직접 생성하지 않아도 주 영역과 동일한 레코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ttps://insoobaik.tistory.com/81 WindowsServer 2019 - DNS(주영역 (정방향, 역방향)) - WindowsServer에서 DNS(Domain Name Service)를 사용해 볼 것이다.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DNS 설치 - DNS. insoobaik.tistory.com - DNS 주 영역 설정에 대한 포스팅 - 보조 영역 생성 - 보조 영역 생성 시 새..

WindowsServer 2019 - WEB (리얼 디렉토리, 가상 디렉토리)

- 이번 포스팅에서는 WEB과 관련된 설정을 해 볼 것이다. WEB 페이지를 띄우는 것, 디렉터리 검색 기능을 이용해 WEB 페이지에서 루트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터리들을 확인해보고, WEB 페이지에 실제 WEB 서버이 메인 디렉토리가 보이는 것은 보안에 좋지 않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WEB 페이지를 접근하는 사용자에겐 루트 디렉터리 바로 아래 홈 디렉토리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가상의 디렉터리가 홈 디렉터리 아래 있는 것 처럼 보이게 하는 작업을 해 볼 것이다. - WEB 서버 설치 - WEB을 이용하기 위해선 역할 및 기능 추가 -> 웹 서버(IIS)를 설치 해주어야 한다. - 역할 서비스 -> 웹서버 -> 1. 보안 -> 요청 필터링, IP 및 도메인 제한, Windows 인증, 기본 인증 -> 2. ..

WindowsServer 2019 - DNS(주영역 (정방향, 역방향))

- WindowsServer에서 DNS(Domain Name Service)를 사용해 볼 것이다.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DNS 설치 - DNS 서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설치해준다. - DNS 정방향 -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는 정방향 설정을 해볼 것이다. - 주 영역은 주 DNS가 되고 보조 영역에서 주 영역의 정방향 레코드들을 업데이트 받아 올 수 있다. Linux에서 master&slave에서 master에 해당한다. - DNS의 기존 파일은 루트 디렉토리 아래 system32\dns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동적 업데이트는 주 영역에서 레코드 생성 및 변경이..

WindowsServer 2019 - FTP (Virtual Host, 가상 호스트)

https://insoobaik.tistory.com/90 WindowsServer 2019 - FTP (FTP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 WidowsServer에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1. FTP 루트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2.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을 통해 사용해 볼 것이다. - 우선 FTP에서 사용할 사용자를 컴퓨터 관리 진.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79 WindowsServer 2019 - FTP (사용자 격리, chroot) https://insoobaik.tistory.com/90 WindowsServer 2019 - FTP (FTP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 이..

WindowsServer 2019 - FTP (사용자 격리, chroot)

https://insoobaik.tistory.com/90 WindowsServer 2019 - FTP (FTP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 WidowsServer에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1. FTP 루트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2.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을 통해 사용해 볼 것이다. - 우선 FTP에서 사용할 사용자를 컴퓨터 관리 진. insoobaik.tistory.com - FTP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FTP를 사용해 보았다. - FTP (사용자 격리, chroot) - 이번 포스팅에서는 chroot(change root directory)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최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작업을 해 ..

WindowsServer 2019 - FTP (FTP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

WidowsServer에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1. FTP 루트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2. 사용자 이름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방법 을 통해 사용해 볼 것이다. - 우선 FTP에서 사용할 사용자를 컴퓨터 관리 진입 후 임의로 생성해준다. - FTP 서버 설치 - 위와 같이 FTP 서버를 설치해준다. - FTP 서버 사이트에서 사용할 디렉토리와 파일을 생성해준다. - 루트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의 경우 FTP 루트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FTP를 해당 디렉토리에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FTP의 기본이 되는 방법이다. - 사이트 -> FTP 사이트 추가 - 위에서 미리 만들어준 FTP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해준다. - 특정 IP를 지정하지 않고 우선 모든 IP에서 해당..

Windows Server 2019 - DHCP 예약, Virtual MAC

2.1.1 Virtual Mac - Virtual Mac은 가상의 Mac 주소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가상 환경에서 MAC 주소를 편의를 위해 임의로 사용자가 원하는 MAC 주소로 변경하는 것이다. ncpa.cpl -> 속성 -> 구성 -> 고급 -> Locally Administered Address에서 원하는 MAC주소 12자리를 입력해준다. cmd에서 ipconfig /release 후에 ipconfig /renew 명령어를 사용한 뒤 ipconfig /all로 MAC Address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 MAC Address가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1.2 DHCP 예약 DHCP 예약은 자동으로 DHCP 범위 안에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 IP처럼 서버..

Windows Server 2019 - DHCP

2.1 DHCP 설정 (Window) ------- 조건 ------- 할당받은 네트워크는 10.0.0.0/24 1. 서버는 40대 운영중입니다. 모두 고정 IP사용 중이며 네트워크 앞쪽으 IP를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2. DHCP 서버는 첫번째 서버다. 3. DNS서버는 첫번째 서버와 Google의 public DNS를 2차 DNS로 사용중이다. 4. Gateway 주소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IP 주소를 사용한다. 5. 임대기간은 1시간이다.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설치할 위치의 서버를 선택해준다. DDHCP서버를 설치 할 것이기 때문에 체크해준다. 도구 -> DHCP DHCP를 설치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DHCP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티 생성된다. 먼저 서버에서 DHCP로 클라이언트에게 부여할 ..

server - DFS

- DFS(Distribute File System) : 수많은 서버들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고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파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는 서버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마치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것처럼 접근하고 처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파일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 서버 관리자 -> 역할 및 기능 추가 -> 서버 역할 -> 파일 및 iSCSI 서비스 아래 DFS 네임스페이스, DFS 복제를 체크하여 설치한다. - DFS 콘솔 -> 네임스페이스에서 새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 준다. - 새로 생긴 네임스페이스 -> 우클릭 -> 새폴더 - 임의의 새폴더를 생성해준다. - 다음과 같이 새폴더가 생성이 되었다. - 로그인 후 실행창에서 \\192.168.100.10(부모 도메인 ..

server - SSTP (PPTP)

- SSTP (Secure Socket Tunneling Protocol) : 가상 사설망 중 하나로 보안이 가장 뛰어나다. - 먼저 PPTP 환경을 먼저 설정 해준다. (https://insoobaik.tistory.com/11)에 PPTP 관련된 내용이 있다. - 기본 구성은 위의 사진과 같이 할 것이다. - PPTP 구성을 마쳤으면 SSTP 구성을 해볼 것이다. - 이 페이지 다음을 누르게 되면 컴퓨터 이름을 바꾸면 안된다. - 설치가 완료되면 스냅인에서 인증서를 추가한다. 인증서 추가시 내 사용자 계정, 컴퓨터 계정(로컬) 두가지를 생성해준다. - 이제 실행창에서 http://서버 ip/certsrv (Client랑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 접속한다. - 우측 상단에 톱니바퀴를 클릭 -> 인터넷 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