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etwork/WindowsServer 46

WindowsServer 2019 - AD (Member Server & Computer Account)

목차 1. Member Server 2. Domain Join 3. Local Logon VS Domain Logon 4. DC에서 Computer Account 삭제 1. Member Server 1.1. Standalone Server가 Domain에 가입한 상태 1.2. Domain Logon과 Local Logon 모두 가능 1.3. DC의 자원(user, group, Computer 등) 즉, 개체를 가져다 쓰기 위해서 사용 1.4. 대부분의 Application을 설치 1.5. DC에 설치시 사용자가 직접 Domain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보안상의 허점을 방비 - DC는 중요한 정보들이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Logon을 지양한다. - App에 Logon하는 사용자들에게 DC 자원을 가져..

WindowsServer 2019 - AD (DC 수준 내리기 및 System 초기화)

목차 1. DC 수준 내리기 2. DNS 접미사 삭제 3. 역할 삭제 1. DC 수준 내리기 - DC를 다시 Standalone 상태로 만들기 위해 우선적으로 DC 수준을 내려야 한다. - AD DS의 기능을 제거하려 하면 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AD DS의 기능을 제거하기전에 우선 DC의 수준을 내려야 한다. 자격 증명 1. DC의 수준 내리기는 Forest의 Root 관리자 역할이 필요하다. 2. Forest의 Root 관리자 역할을 최초 생성한 DC에서 확인한다. 3. 최초 생성한 DC의 Administrator는 총 6개의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다. 4. '이 도메인 컨트롤러 강제 제거'는 흔적을 수동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 단, 도메인의 마지막 컨트롤러라면..

WindowsServer 2019 - AD (ADDS, Domain Contorller 설치)

목차 1. Windows Server 유형 2. ADDS 설치 3. Domain Controller 설정 4. Windows Server 설정 1. Windows Server 유형 1. Standalone 1.1. 기본 상태의 서버 1.2. 오로지 Local Logon만 가능 1.3. 상호 협업이 불가능함으로 Windows Server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 2. Member Server 2.1. Standalone Server가 Domain에 가입한 상태 2.2. Domain Logon과 Local Logon 모두 가능 2.3. DC의 자원(user, group, Computer 등) 즉, 개체를 가져다 쓰기 위해서 사용 2.4. 대부분의 Application을 설치 2.5. DC에 설치시 사..

WidowsServer2019 - AD(Active Directory) 개요

목차 1. AD(Active Directory) 2. Schema 3. 개체 4. Domain 5. Forest 6. Tree 7. Site 8. AD의 장점 9. FSMO(Flexible Single Master Operation) 1. AD(Active Directory) 1.1. 사용자 및 그룹에 대한 단위화된 관리 도구 제공 1.2. 공유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접근 할당 1.3. 모든 사용자와 컴퓨터에 적용되는 보안 설정 1.4. 보안 정책을 통해 데스크탑의 보안설정 관리 2. Schema 2.1. 개체가 가지는 고유한 속성 값 Class 특성 3. 개체 3.1. 고유한 특성을 갖는 최고 단위 Computer Group User Printer 공유폴더 OU 4. Domain 4.1. 개체들에 대..

Windows - DNS (/etc/hosts)

- 이번 포스팅은 DNS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으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숫자로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힘들기 떄문에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DNS (Domain Name System, Service, Server) 1. URL을 IP Address 변환 2. URL 검색 순서 2.1 첫번째 cache memory 확인 - ipconfig /displaydns 캐쉬 확인 - ipconfig /flushdns 2.2 /etc/hosts 참조 2.3 DNS (고정 IP 설정 or DHCP 서버에서 수신하는) 참조 5.1 DNS의 이해 - 도메인은 .(루트) 최..

WindowsServer 2019 - Mail

- 이번 포스팅은 Windows에서 mail 기능을 알아 볼 것이다. mai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hmailserver를 사용할 것이다. hmailserver는 윈도우 전용 오픈소스 이메일 서버이고 IMAP, POP3, SMTP 등 다양한 이메일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외부 DB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 hmailserver 설치 https://www.hmailserver.com/ 다음 사이트에서 hmail을 다운 받을 수 있다. - 가상 머신의 윈도우 환경에 VMware tools가 설치되어 있다면, 실제 PC에 있는 파일을 복사해서 가상 환경의 윈도우에 옮길 수 있다. - .NET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생기는 오류다. 서버 관리자 -> 역할 및 기능 추가에서 .NET을 설치해준..

WindowsServer 2019 - WEB (인증)

- 이번 포스팅은 WEB 인증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웹 인증은 웹 사이트 생성 후 웹 페이지 접속 시 지정된 사용자들만 인증을 거친 다음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다. https://insoobaik.tistory.com/82 WindowsServer 2019 - WEB (리얼 디렉토리, 가상 디렉토리) - 이번 포스팅에서는 WEB과 관련된 설정을 해 볼 것이다. WEB 페이지를 띄우는 것, 디렉터리 검색 기능을 이용해 WEB 페이지에서 루트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터리들을 확인해보고, WEB 페이지에 실제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obaik.tistory.com/82 WindowsServer 2019 - WEB (바인딩 (bind) - 이번 ..

WindowsServer 2019 - WEB (바인딩 (bind)

- 이번 포스팅은 WEB 바인딩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 WEB 바인딩 - WEB 바인딩은 WEB 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IP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WEB 서버에 2개 이상의 사이트가 생성되면 동일한 포트 번호(http의 경우 80번)의 사용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충돌이 일어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해당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이 있다. 1. 다른 IP 주소를 사용 이 방법의 경우 새로운 PC 하나를 추가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세히 말하자면 새로운 랜카드를 생성한다는 의미와 같다. IP 자체를 새로 받아오게 되면 포트 번호가 같더라도 다른 IP 주소로 인해 경로가 달라지게 되므로 오류가 해결된다. 2. 포트 번호를 변경 이 방법의 경우 포트 번호만 변경하면 되기 때..

WindowsServer 2019 - WEB (리디렉션, 도메인 제한)

- HTTP 리디렉션은 원래 접속한 URL 주소를 새로운 다른 주소로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이다. 여러개의 도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하나의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메인 주소(www.one.com)를 입력창에 입력하더라도 다른 도메인 주소(www.two.com)의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설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 HTTP 리디렉션이다. https://insoobaik.tistory.com/82 WindowsServer 2019 - WEB (리얼 디렉토리, 가상 디렉토리) - 이번 포스팅에서는 WEB과 관련된 설정을 해 볼 것이다. WEB 페이지를 띄우는 것, 디렉터리 검색 기능을 이용해 WEB 페이지에서 루트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터리들을 확인해보고, WEB 페이지에 실..

WindowsServer 2019 - DNS (스텁(stub) 영역)

ㅋ- 이번 포스팅에서는 DNS의 스텁(stub) 영역에 대해 다뤄 볼 예정이다. 스텁 영역은 보조 영역과 비슷하게 주 영역에서 레코드를 받아오지만 주 영역에서 생성한 모든 레코드들을 받아오는 것이 아닌 SOA, NS 레코드와 두 레코드에 해당하는 A 레코드만 받아온다. https://insoobaik.tistory.com/81 WindowsServer 2019 - DNS(주영역 (정방향, 역방향)) - WindowsServer에서 DNS(Domain Name Service)를 사용해 볼 것이다.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DNS 설치 - DNS. insoobaik.tistory.com https://inso..

728x90